본문 바로가기

그냥 끄적거림~

중용 23장

반응형

"중용"(中庸)은 유교경전 사서3경중의 하나입니다.

사서 : 논어, 맹자, 대학, 중용

삼경 : 시경, 상서, 주역

 

중용이라는 말은 일반적으로 우리에게도 "중용을 잘 지켜라"라는 관용어로도 인식되어 있는데,

인간관계에 있어서 말과 행동, 감정표현으로 주로 하게 되는 것, 그것에 있어서

부족한지, 아니면 지나친지 그것을 잘 살펴 중간을 지키고 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특히 영화 "역린"을 통해서 이 의미가 다시금 강조되었는데,

그 가운데서 중용23장이 더욱 강조되었습니다.

 

그 중용 23장에 대해서 살피고 그 의미를 내면에 깊이 담고자 합니다.

 

<중용> 사진출처 : 충청남도 역사문화연구원

 

중용 23장에 이런 내용이 있습니다.

 

其次致曲 曲能有誠 誠則形 形則著 著則明 明則動 動則變 變則化 唯天下至誠 爲能化

(기차치곡  곡능유성  성즉형  형즉저  저즉명  명즉동   동즉변  변즉화  유천하지성  위능화)

 

그 다음은 세소한 곳에까지 이르게 하는 것이다.

세소함에도 정성됨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니

정성되면 곧 나타나고, 나타나면 더 뚜렷해지고,

뚜렷해지면 곧 밝아지고, 밝아지면 곧 움직이고,

움직이면 곧 변하고, 변화면 곧 화하는 것이다.

그러니 지극정성을 다하는 사람만이

모두를 꽃피운다 

 

 

현대어한 뜻 풀이

 

작은일도 무시하지 않고 최선을 다해야 한다.

작은일에도 최선을 다하면 정성스럽게 된다.

정성스럽게 되면 겉에 배어 나오고 

겉에 배어 나오면 겉으로 드러나고 

겉으로 드러나면 이내 밝아지고 밝아지면 다른 이들을 감동시키고

다른 이들을 감동시키면 곧 변하게 되고

변하게 되면 꽃과 열매가 맺힌다

그렇기에 오직 세상에서 지극히 정성을 다하는 사람만이

나와 세상을 변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어렵게 구한 책 세계의 끝 씨앗창고>

 

<성공은.....>

 

저의 일상생활에서 "중용"의 가치가 부드럽게 표현되고 드러나기를 바라게 됩니다.

아무래도 책과 가까이 하면 그것이 자연스레 지켜지지 않을까....그렇게 생각해 봅니다.

 

#여러분의 "공감"과 "댓글" 그리고 SNS "공유"는 저의 블로그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어 주신답니다

(공감은 로그인을 안하셔도 가능합니다^^)

 

#이 블로그는 구글-크롬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https://www.google.co.kr/chrome/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