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심리학자 김정운소장(여러가지문제연구소장)이 쓴
"가끔은 격하게 외로워야 한다"라는 책에 이런 내용이 있습니다.
"우리는 너무 바쁘게들 삽니다.
그렇게 사는 게 성공적인 삶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자꾸 시간을 쪼개고 사람들을 만납니다.
착각입니다.
바쁠수록 마음은 공허해집니다.
'인간은 어쩔 수 없이 외로운 존재'임을 깨닫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외로움은 그저 견디는 겁니다.
외로워야 성찰이 가능합니다.
고독에 익숙해져야 타인과의 진정한 상호작용이 가능합니다.
외로움에 익숙해야 외롭지 않게 되는 겁니다.
외로움의 역설입니다.
........."
-가끔은 격하게 외로워야 한다 프롤로그 중,(김정운 저/21세기북스)
![](https://blog.kakaocdn.net/dn/1Ib8I/btqO0gAVCgU/9w6aIXkKpOemwsWkAFrMP1/img.jpg)
예전 보았던 영화 중 "론머맨"이라는 영화가 있었습니다.
정신지체아인 주인공이 가상현실의 실험대상으로 되어 실험중, 엄청난 능력자가 되고
결국 사이버 세계의 지존으로 변해버리는 섬뜩하고도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는 영화였습니다.
(영화의 폭력성과 선정성이 높아서 그 영화를 한 번 본 이후, 다시는 본 적이 없습니다)
그런데 그 영화의 장면 중에서 지금까지도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주인공 죠브(Jobe Smith)가
마지막으로 자유로운 가상현실로 옮겨가려고 수많은 서버를 접속하는 장면이 있습니다.
그 장면이 참 끔찍하고도, 오늘날의 SNS의 홍수 가운데서 제가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 좋은 본보기가 되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VqedL/btqO71oLvkA/e1imvsNmNpD2wC72DTW68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qc4T0/btqO6hFD3nG/YdbPWJgBOPTGh3TNfsqkF1/img.jpg)
코로나19의 팬데믹이 온통 뒤덮인 지금의 현실,
고독과 외로움의 가운데서 힘겹게 살아가고, 더더욱 열악한 환경 가운데 코로나블루의 상황에 놓인 이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SNS를 볼 때, 일상의 생활에서 어떻게든 벗어나려고 애를 쓰는 사람들의 모습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습니다.
(저 자신이 그럴지도 모릅니다. 솔직하게 인정해서 말이죠~)
오늘 저녁에 다시 김정운 소장의 저 책, 그리고 글들을 읽으면서
"외로움"을 어떻게 대해야 할까,
"고독"을 어떤 방식으로 내 안에 받아들일 수 있을까,
어떤 의미있는 무엇이 있을까..............
이런저런 생각과 질문이 제 머리속을 감돌고 있는 지금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MNVur/btqOVJDH5kr/vYjoaaiSYKjlV1bQuGqSzk/img.jpg)
다시 책으로 깊이 들어갑니다.
이 책이라는 도구가 있는 것이 저에게는 눈물겨울 정도로 얼마나 좋은지 모릅니다.
(거의 절대적인 저의 친구와 동료의 의미라고 할까요~)
#여러분의 "공감"과 "댓글" 그리고 SNS "공유"는 저의 블로그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어 주신답니다
(공감은 로그인을 안하셔도 가능합니다^^)
#이 블로그는 구글-크롬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https://www.google.co.kr/chrome/)
'그냥 끄적거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라는 악기를 스스로 조율하기 (6) | 2020.12.08 |
---|---|
능력있기 보다는 사랑받는 사람으로.... (4) | 2020.12.07 |
이제 "핀란드(북유럽) 교육탐방"은 그만합시다 (20) | 2020.12.02 |
"당신이 읽은 책이 당신 그 자체다" (26) | 2020.11.29 |
삶의 근육을 키우는 것, (8) | 2020.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