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란드의 카렐리야(Karelia) 지역은
핀란드 만을 중심으로 러시아와 핀란드의 경계를 이루던
중요한 지역이었습니다.
현재까지도 핀란드, 러시아의 두 나라에 있어서
상당히 민감한 지역으로 지난 역사의 가운데서도
여러차례의 분쟁이 있었던 곳이기도 했습니다.
이곳이 핀란드에게 있어서 얼마나 상징적인 지역이냐면,
현재 핀란드 인구의 1/5정도가 여기 카렐리랴계라고 할 수 있고
역사적으로 독자적인 언어까지 사용했을 정도로
민족성이 강한 지역이기도 합니다.
<핀란드 카렐리야 표시지도>
지도상으로 보시는 것처럼 지금도 이 지역은 핀란드, 러시아가 서로 양분해서 실효적 지배를 하고 있는 지역이기도 합니다
1890년대, 당시 러시아로부터의 독립에 온 촛점을 맞추고 있던 핀란드에서는
여기 카렐리야 지역을 되찾는 것이 너무나도 중요했던 하나의 미션의 부분이기도 했습니다.
마치 한국의 입장에서 보면
지금도 너무나 큰 아쉬움으로 있는 만주땅 간도에 대한 역사의 기억처럼 말이죠.
(참고로 간도는 압록강 상류(서간도)와 두만강 북쪽(북간도 혹은 동간도)의 조선인 거주 지역을 말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호수와 삼림이 가득한 이 지역은 핀란드의 신화인 <칼레발라>에도 자주 등장하는 지역으로
바로 이곳 칼레발라로 핀란드의 음악가인 시벨리우스는 신혼여행까지 다녀오게 됩니다.
이 곳의 영감을 잔뜩 받으면서 시벨리우스는 그의 음악 리스트에서 하나의 이정표가 되는 작품
Karelia Suite를 작곡하게 됩니다.
시벨리우스하면 제일 유명한 "Finlandia"에 있는 그 내면의 깊은 민족주의적 표현도 이 음악작품 안에 그리고 있지만,
그것에 지나치게 치우치지는 않고 "교향시"의 다소 부드러운 형식을 가미해서
자신의 조국 핀란드, 그 핀란드에 대한 사랑을 카렐리야의 전통적인 농민음악, 민요의 형식까지 가미해서
때로는 흥겹기까지 할 정도로 더욱 입체적으로 음악적 상상력을 표현했습니다.
Karelia Suite는 총 3곡의 관현악 조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곡 - Intermazzo(간주곡)
제2곡 - Ballade(발라드)
제3곡 - Alla Marcia(행진곡)
이렇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핀란드 West Karelia지역의 호수와 숲>
<러시아가 실효지배하는 East Karelia 지역의 호수와 숲>
<Ballade :Tempo di menuetto>
<Alla Marcia : Moderato>
이 작품을 들으면 저도 모르게 기분이 매우 유쾌해 집니다.
특히 마지막 3악장의 "Alla Marcia" 행진곡을 들으면 그 유쾌함이 더욱 커집니다.
다음에 핀란드에 갈 때는 이곳 카렐리야(Karelia) 지역에 꼭 가고 싶어요.
제대로 된 핀란드의 삼림과 호수를 이곳에서 체험할 수 있다고 하는데, 여기를 꼭 가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음악으로 먼저 여행을 떠나갑니다. 마치 그 곳에서 있는 것처럼 말이죠~
#여러분의 "공감"과 "댓글" 그리고 SNS "공유"는 저의 블로그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어 주신답니다
(공감은 로그인을 안하셔도 가능합니다^^)
#이 블로그는 구글-크롬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https://www.google.co.kr/chrome/)
'향기로운 음악~ > Classic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르웨이 Grieg, 핀란드 Sibelius (10) | 2018.03.25 |
---|---|
Sibelius 7 Symphonies Hannu Rintu (12) | 2018.03.20 |
It's Your Day, 그리고 아침 (10) | 2018.03.04 |
Pachelbel Canon in D Major (10) | 2018.02.07 |
John Rutter Candlelight Carol (6) | 2017.12.24 |